맨위로가기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996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10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대한민국,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시리아,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가 각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개최국 아랍에미리트와 1992년 AFC 아시안컵 우승국 일본을 포함한 총 12개 팀이 본선에서 경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AFC 아시안컵 - 1996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1996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은 해당 대회에 참가한 국가대표팀의 선수, 감독, 소속 클럽 정보를 담고 있으며, A조, B조, C조에 속한 국가들과 준우승을 차지한 아랍에미리트 국가대표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방식을 공유하여 4단계로 진행되었고, 총 2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여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다퉜으며, 개최국 참가 및 동티모르 몰수패 등의 사건이 있었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총 10개 조로 나뉜 조별 리그에서 각 조 1위 팀들이 본선에 진출하여 이라크,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중국, 쿠웨이트, 일본, 카타르, 대한민국, 태국, 이란이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요약
대회 명칭1996년 AFC 아시안컵 예선
기간1996년 1월 24일 – 1996년 8월 11일
참가 팀 수33개국
경기 수기록된 경기 수 정보 없음
총 득점기록된 총 득점 정보 없음
평균 득점기록된 평균 득점 정보 없음
최다 득점자알리 다에이(12골)
이전 대회1992년
다음 대회2000년

2. 조 편성

3. 경기 결과

3. 1. 1조

대한민국은 베트남, 중화 타이베이, 과 함께 1조에 편성되었다. 모든 경기는 베트남 호찌민 시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경기승점
대한민국3300170+179
베트남3201135+86
중화 타이베이3102101003
3003227-250



1996년 8월 4일, 호찌민 시에서 열린 베트남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 베트남이 4-1로 승리하였다.

1996년 8월 5일, 호찌민 시의 통 냐트 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9-0 대승을 거두었다.

1996년 8월 7일, 호찌민 시에서 열린 베트남과 괌의 경기에서는 베트남이 9-0으로 크게 이겼다.

1996년 8월 8일, 호찌민 시의 통 냐트 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4-0으로 승리하였다.

1996년 8월 10일, 호찌민 시에서 열린 괌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9-2로 승리하였다.

1996년 8월 11일, 호찌민 시의 통 냐트 경기장에서 열린 베트남과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4-0으로 승리하였다.

3. 1. 1. 경기 결과 (1조)

1996년 8월 4일, 호찌민 시에서 열린 베트남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 베트남이 4-1로 승리하였다.

1996년 8월 5일, 호찌민 시의 통 냐트 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9-0 대승을 거두었다.

1996년 8월 7일, 호찌민 시에서 열린 베트남과 괌의 경기에서는 베트남이 9-0으로 크게 이겼다.

1996년 8월 8일, 호찌민 시의 통 냐트 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4-0으로 승리하였다.

1996년 8월 10일, 호찌민 시에서 열린 괌과 중화 타이베이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9-2로 승리하였다.

1996년 8월 11일, 호찌민 시의 통 냐트 경기장에서 열린 베트남과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대한민국이 4-0으로 승리하였다.

경기승점
대한민국3300170+179
베트남3201135+86
중화 타이베이3102101003
3003227-250



모든경기는 베트남 호치민에서 열렸다.

3. 2. 2조

2조는 중국, 홍콩, 마카오, 필리핀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경기는 홍콩에서 개최되었다.

경기승점
중국3300161+159
홍콩3201123+96
마카오3102712-53
필리핀3003120-190



'''중국'''이 3전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 경기 결과 ====

1996년 1월 30일, 홍콩에서 열린 경기에서 홍콩필리핀을 8 – 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중국마카오를 7 – 1로 꺾었다.

1996년 2월 1일, 필리핀중국에 0 – 7로 패배했다. 같은 날 홍콩마카오를 4 – 1로 이겼다.

1996년 2월 4일, 마카오필리핀을 5 – 1로 꺾었다. 같은 날 홍콩중국에 0 – 2로 패배하며 중국이 최종 본선에 진출했다.

3. 2. 1. 경기 결과 (2조)

1996년 1월 30일, 홍콩에서 열린 경기에서 홍콩필리핀을 8 – 0으로 대파했다. 같은 날, 중국마카오를 7 – 1로 꺾었다.

1996년 2월 1일, 필리핀중국에 0 – 7로 패배했다. 같은 날 홍콩마카오를 4 – 1로 이겼다.

1996년 2월 4일, 마카오필리핀을 5 – 1로 꺾었다. 같은 날 홍콩중국에 0 – 2로 패배하며 중국이 최종 본선에 진출했다.

3. 3. 3조

3조에서는 태국, 싱가포르, 미얀마, 몰디브가 맞붙었다. 모든 경기는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태국싱가포르에서 진행되었다.

경기승점
태국6420315+2614
싱가포르6330167+912
미얀마62131120-97
몰디브6006430-260



태국은 4승 2무를 기록하며 조 1위로 1996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경기 결과


1996년 6월 27일





1996년 6월 29일





1996년 7월 1일




1996년 7월 4일





1996년 7월 7일





1996년 7월 9일




3. 3. 1. 경기 결과 (3조)

1996년 6월 27일, 방콕: 태국 8 – 0 몰디브

1996년 6월 27일, 방콕: 미얀마 0 – 4 싱가포르

1996년 6월 29일, 방콕: 태국 5 – 1 미얀마

1996년 6월 29일, 방콕: 몰디브 0 – 2 싱가포르

1996년 7월 1일, 방콕: 태국 1 – 1 싱가포르

1996년 7월 1일, 방콕: 미얀마 3 – 1 몰디브

1996년 7월 4일, 싱가포르: 몰디브 0 – 8 태국

1996년 7월 4일, 싱가포르: 싱가포르 2 – 2 미얀마

1996년 7월 7일, 싱가포르: 미얀마 1 – 7 태국

1996년 7월 7일, 싱가포르: 싱가포르 5 – 2 몰디브

1996년 7월 9일, 싱가포르: 몰디브 1 – 4 미얀마

1996년 7월 9일, 싱가포르: 싱가포르 2 – 2 태국

3. 4. 4조

4조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인도로 구성되었다. 모든 경기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었다.

경기승점
인도네시아211071+64
말레이시아211052+34
인도2002312-90



인도네시아는 1승 1무를 기록, 조 1위로 1996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경기 결과

1996년 3월 2일



1996년 3월 4일



Indriyanto Nugroho영어 12', 74', Rochi Putiray영어 18', 52', Ansyari Lubis영어 42', 49', Peri Sandria영어 77' 득점.

1996년 3월 6일



Zainal Abidin Hassan영어 12', 57', Dollah Salleh영어 21'(pen.), 54', Anuar Abu Bakar영어 71' 득점.

3. 4. 1. 경기 결과 (4조)

1996년 3월 2일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0 - 0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1996년 3월 4일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7 - 1인도 축구 국가대표팀}}}



1996년 3월 6일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5 - 2인도 축구 국가대표팀}}}


3. 5. 5조

5조에서는 이란, 오만, 스리랑카, 네팔이 경기를 치렀다.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란은 6전 전승으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본선에 진출했다.

경기승점
이란/إيران‎ar6600271+2618
오만/عمان‎ar6402235+1812
스리랑카/ශ්‍රී ලංකාවsi6204525-206
네팔/नेपालne6006226-240



; 경기 결과

1996년 6월 10일, 테헤란에서 열린 경기에서 오만스리랑카를 3 – 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이란네팔을 8 – 0으로 대파했다.

1996년 6월 12일, 테헤란에서 오만네팔을 7 – 0으로 크게 이겼고, 이란스리랑카를 7 – 0으로 완파했다.

1996년 6월 14일, 테헤란에서 스리랑카네팔을 3 – 1로 이겼으며, 이란오만을 2 – 0으로 제압했다.

1996년 6월 17일, 무스카트에서는 이란스리랑카를 4 – 0으로, 오만네팔을 2 – 1로 이겼다.

1996년 6월 19일, 무스카트에서 이란네팔을 4 – 0으로, 오만스리랑카를 10 – 0으로 대파했다.

1996년 6월 21일, 무스카트에서 네팔스리랑카에 0 – 2로 패배했고, 오만이란에 1 – 2로 석패했다.

3. 5. 1. 경기 결과 (5조)

1996년 6월 10일, 테헤란에서 열린 경기에서 오만스리랑카를 3 – 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이란네팔을 8 – 0으로 대파했다.

1996년 6월 12일, 테헤란에서 오만네팔을 7 – 0으로 크게 이겼고, 이란스리랑카를 7 – 0으로 완파했다.

1996년 6월 14일, 테헤란에서 스리랑카네팔을 3 – 1로 이겼으며, 이란오만을 2 – 0으로 제압했다.

1996년 6월 17일, 무스카트에서는 이란스리랑카를 4 – 0으로, 오만네팔을 2 – 1로 이겼다.

1996년 6월 19일, 무스카트에서 이란네팔을 4 – 0으로, 오만스리랑카를 10 – 0으로 대파했다.

1996년 6월 21일, 무스카트에서 네팔스리랑카에 0 – 2로 패배했고, 오만이란에 1 – 2로 석패했다.

3. 6. 6조

이라크는 요르단, 파키스탄과 함께 6조에 편성되었다. (방글라데시는 기권).[1] 모든 경기는 요르단 암만에서 개최되었다.[1]

경기승점
이라크/العراقar220040+46
요르단/الاردنar210141+33
파키스탄/پاکستانur200207-70
방글라데시/বাংলাদেশbn기권



1996년 8월 9일, 요르단암만에서 열린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다.[1]

1996년 8월 11일, 요르단암만에서 이라크에게 0-1로 패배했다.[1]

1996년 8월 13일, 파키스탄암만에서 이라크에게 0-3으로 패배했다.[1]

이라크는 2전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1]

3. 6. 1. 경기 결과 (6조)

1996년 8월 9일, 요르단암만에서 열린 파키스탄과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다.[1]

1996년 8월 11일, 요르단암만에서 이라크에게 0-1로 패배했다.[1]

1996년 8월 13일, 파키스탄암만에서 이라크에게 0-3으로 패배했다.[1]

3. 7. 7조

시리아는 카타르, 카자흐스탄과 함께 7조에 편성되었다.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시리아는 3승 1패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경기승점
시리아430162+49
카타르420254+16
카자흐스탄410316-53



1996년 6월 14일



1996년 6월 21일



1996년 6월 28일



1996년 7월 5일



1996년 7월 12일



1996년 7월 19일


3. 7. 1. 경기 결과 (7조)

7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기승점
시리아430162+49
카타르420254+16
카자흐스탄410316-53



1996년 6월 14일



1996년 6월 21일



1996년 6월 28일



1996년 7월 5일



1996년 7월 12일



1996년 7월 19일


3. 8. 8조

8조에서는 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이 맞붙었다. (바레인은 기권하였다.)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96년 5월 8일 두샨베파미르 스타디움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을 4-0으로 대파했다. 알렉산드르 쿨라코프 (카자흐스탄)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고, 20,000명의 관중이 들어찼다.

1996년 6월 19일 타슈켄트의 파흐타코르 스타디움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을 5-0으로 꺾었다. 엘다르 라마자노프 (투르크메니스탄)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고, 15,000명의 관중이 들어찼다. 특히 이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이었다.

두 경기 합계 5-4로 '''우즈베키스탄'''이 1996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3. 8. 1. 경기 결과 (8조)

1996년 5월 8일, 두샨베에서 열린 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의 경기에서는 타지키스탄이 4-0으로 크게 이겼다. 알렉산드르 쿨라코프 (카자흐스탄)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고, 파미르 스타디움에 20,000명의 관중이 들어찼다.

1996년 6월 19일, 타슈켄트의 파흐타코르 스타디움에서는 우즈베키스탄이 타지키스탄을 5-0으로 꺾었다. 엘다르 라마자노프 (투르크메니스탄) 주심이 경기를 진행했고, 15,000명의 관중이 들어찼다. 특히 이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우즈베키스탄이 승리하였다.

두 경기의 합계 점수는 5-4로, '''우즈베키스탄'''이 1996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했다.

3. 9. 9조

9조의 모든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되었다.

경기승점
사우디아라비아4400100+1012
키르기스스탄410337-43
예멘410328-63



1996년 1월 24일



1996년 1월 26일



1996년 1월 28일



1996년 1월 31일



1996년 2월 2일



1996년 2월 4일



사우디아라비아는 4전 전승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3. 9. 1. 경기 결과 (9조)

1996년 1월 24일

{

}

1996년 1월 26일

{

}

1996년 1월 28일

{

}

1996년 1월 31일

{

}

1996년 2월 2일

{

}

1996년 2월 4일

{

}

3. 10. 10조

10조에서는 쿠웨이트, 레바논, 투르크메니스탄이 맞붙었다. 경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기승점
쿠웨이트422095+48
레바논421176+17
투르크메니스탄401338-51



1996년 3월 10일, 아시가바트에서 열린 투르크메니스탄쿠웨이트의 경기는 2 – 2 무승부로 끝났다. 1996년 3월 22일, 쿠웨이트 시에서 열린 쿠웨이트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쿠웨이트가 2 – 0으로 승리했다. 1996년 5월 12일, 베이루트에서 열린 레바논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레바논이 3 – 1로 승리하였다. 1996년 5월 26일, 아시가바트에서 열린 투르크메니스탄레바논의 경기는 레바논이 1 – 0으로 승리하였다. 1996년 6월 9일, 베이루트에서 열린 레바논쿠웨이트의 경기는 쿠웨이트가 5-3으로 승리하였다. 1996년 6월 20일, 쿠웨이트 시에서 열린 쿠웨이트레바논의 경기는 0 – 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최종 결과, 쿠웨이트가 2승 2무로 1996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3. 10. 1. 경기 결과 (10조)

1996년 3월 10일, 아시가바트에서 열린 투르크메니스탄쿠웨이트의 경기는 2 – 2 무승부로 끝났다. 1996년 3월 22일, 쿠웨이트 시에서 열린 쿠웨이트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쿠웨이트가 2 – 0으로 승리했다. 1996년 5월 12일, 베이루트에서 열린 레바논투르크메니스탄의 경기는 레바논이 3 – 1로 승리하였다. 1996년 5월 26일, 아시가바트에서 열린 투르크메니스탄레바논의 경기는 레바논이 1 – 0으로 승리하였다. 1996년 6월 9일, 베이루트에서 열린 레바논쿠웨이트의 경기는 쿠웨이트가 5-3으로 승리하였다. 1996년 6월 20일, 쿠웨이트 시에서 열린 쿠웨이트레바논의 경기는 0 – 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4. 본선 진출국

1996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는 개최국인 아랍에미리트1992년 AFC 아시안컵 우승국인 일본을 제외하고, 예선을 통과한 10개 팀이 참가했다.

자격예선 통과 날짜이전 출전 기록
아랍에미리트개최국1993년 4월 29일4회 (1980, 1984, 1988, 1992)
일본1992년 AFC 아시안컵 우승국1992년 11월 8일2회 (1988, 1992)
대한민국1조 우승팀1996년 8월 11일7회 (1956, 1960, 1964, 1972, 1980, 1984, 1988)
중국2조 우승팀1996년 2월 4일5회 (1976, 1980, 1984, 1988, 1992)
태국3조 우승팀1996년 7월 9일2회 (1972, 1992)
인도네시아4조 우승팀1996년 3월 4일0회 (첫 출전)
이란5조 우승팀1996년 6월 21일7회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이라크6조 우승팀1996년 8월 13일2회 (1972, 1976)
시리아7조 우승팀1996년 7월 19일3회 (1980, 1984, 1988)
우즈베키스탄8조 우승팀1996년 6월 19일0회 (첫 출전)
사우디아라비아9조 우승팀1996년 2월 2일3회 (1984, 1988, 1992)
쿠웨이트10조 우승팀1996년 6월 20일5회 (1972, 1976, 1980, 1984,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